본문 바로가기
구독 Writing

책소개 : 달기를 말할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by eRoy 2023. 6. 3.
728x90
반응형
SMALL

달기를 말할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 무라카미 하루키 -


이제 만나고 싶은 사람만 만나고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은 되도록 만나지 말자.
그런 조촐한 사치가 적어도 당분간은 허용되어도
좋을 것 같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좋아하는 것은 자연히 계속할 수 있고, 좋아하지 않는 것은 계속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거기에는 의지와 같은 것도 조금은 관계하고 있을
것이다.

진다는 것은 어느 정도 피하기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누구든 영원히 이기기만 할 수 없다.
인생이라는 고속도로에서 추월 차선만을 계속해서
달려갈 수는 없다.  그러나 그와 별개로 똑같은 실패를 몇 번이나 되풀이하고 싶지는 않다. 하나의 실패에서 뭔가를 배워서 다음 기회에 그 교훈을 살리고 싶다.
적어도 그러한 생활 방식을 계속하는 것이 능력적으로 허용되는 동안은 그렇게 하고 싶다.

"소설가로서 가장 중요한 자질은 무엇입니까?"
소설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질은 말할 나위도 없이 재능이다. 문학적 재능이 전혀 없다면 아무리 열심히 노력해도 소설가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이것이 필요한 자질이라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전제 조건이다.
재능 다음으로 소설가에게 중요한 자질이 무엇인가 질문받는다면 주저 없이 집중력을 꼽는다.
자신이 지닌 한정된 양의 재능을 필요한 한 곳에
집약해서 쏟아 붓는 능력. 그것이 없으면 중요한 일은 아무것도 달성할 수 없다.
집중력 다음으로 필요한 것은 지속력이다.
하루언 3시간이나 4시간 의식을 집중해서 집필할 수 있었다고 해도, 일주일 동안 계속, 반년이나 1년이나 2년간 매일 집중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힘이,
소설가에는 --- 적어도 장편소설을 쓰는 작가에게는 --- 요구된다.
이와같은 능력은(집중력과 지속력)은 고맙게도 재능의 경우와 달라서, 트레이닝에 따라 후천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그 자질을 향상시켜 나갈 수도 있다.
조금씩 그 한계치를 끌어올려 간다.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아주 조금씩, 그 수지를 살짝 올려간다.

장편소설을 쓴다고 하는 작업은 근본적으로 육체도동이다. 글을 쓴다는 것 자체는 두뇌 노동이다. 그러나 한 권의 정리된 책을 완성하는 일은 오히려 육체노동에 가깝다.

셰익스피어, 발자크, 디킨스 ....  그들은 거장이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