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잘 쓰겠습니다.
- 김연준 작가 -
일탈 강사 김연준이 들려주는 솔직담백 글쓰기 라이프

책 소개
이 책은 저자가 학생들을 가르치며 떠올린 생각과 에피소드를 엮은 에세이이자 초보자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은 글쓰기 지침서다. 글을 쓰고 싶어 하는 이들과 예비 작가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원데이 클래스' 형태로 수록했다. 저자는 처음 글을 쓰던 시절의 열망과 기억을 떠올리며 이 책을 집필했다고 한다. 자신만의 이야기를 써보고 싶은 사람들, 글쓰기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마음이 궁금한 독자들이 이 책을 읽는다면 글을 쓸 용기를 얻고 많은 동기부여를 받게 될 것이다.

작가정보
2017년 단편 소설 「레귤러 가족」으로 등단 후 온라인 전문가 매칭 플랫폼 〈숨고〉에서 글쓰기 고수로 활동 중이다. 지금까지 400여 명의 수강생들 가르쳐 왔으며 현재 30명에 가까운 학생들과 1대1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자유롭고 학생들과 서슴없이 지내는 성격 탓에 학생들로부터 ‘일탈 강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대중 앞에 섰을 때의 희열이 좋아 강의와 강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출판사 서평
마음속 욕망을 끄집어내는 강사
김연준이 만난 사람들과 글쓰기를 하며 생각한 것들
자신만의 글을 써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소설, 에세이, ‘원데이 클래스’ 수록

추천사
강원국 (대통령의 글쓰기 저자)
그녀는 작가이자 강사다. 글을 쓰고, 글쓰기에 관해 말한다. 그녀를 처음 만났을 때, 글에 가까운 말을 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빼고 넣고 고칠 게 별로 없는 말을 한다. 이 책을 읽어 보니 말에 가까운 글을 쓰는 사람이기도 했다. 귀에 대고 속삭이는 것처럼 술술 읽힌다. 작가로서 글 쓰는 일과 강사로서 말하는 일이 서로 도우면서 경지에 이른 듯하다. 글로 읽는 글쓰기 강의로서 손색이 없는 책이다.
김재홍 (시인·문학평론가, 한국시인협회 사무총장)
김연준 작가가 들려주는 글쓰기 강의 풍경은 그 자체로 한 편의 드라마틱한 ‘작가의 길’이다. 지망생에서 공모전에 응모하고 당선되고 작가가 되는 과정은 문인이 되길 열망하는 모든 이들이 거쳐가는 길이다. 김 작가는 그 길을 안내하는 뛰어난 ‘일탈 강사’로 이 책을 통해 그 외연을 더욱 넓혀갈 것이다.
책 속으로
굴곡진 인생을 소재로 쓰려는 심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소설에는 우리의 현실이나 경험이 자연스럽게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신의 경험이 특별하다는 이유로 소설 속에 모두 집어넣으려 한다면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다. 모든 독자가 작가의 경험을 이해하거나 공감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 40p
지금 쓰는 글이 지지부진하다면 잠시 글쓰기를 멈추고 내가 정말로 그 글을 쓰고 싶어 하는지, 내가 즐거워서 쓰는 글인지 곰곰히 생각해보자. 쓰기 싫은 글을 억지로 쓰면 읽는 사람도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법 이다. - 70p
우리는 꾸준히 창작 활동을 하는 예술가를 ‘공장장’이라고 부른다. 그런 의미에서 작가는 글쓰기 공장의 공장장이 돼야 한다. - 78p
글을 쓰지 않는 사람이나 글을 쓰다가 막힌 사람을 다시 쓰게 만드는 힘. 이것을 ‘글쓰기 동기 부여’라고 한다. 아무리 좋아해도 지그 지글러처럼 유명한 동기부여 연설가가 되지는 못하겠지만, 나도 그와 같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은 마음으로 학생들에게 글쓰기에 대한 동기를 끊임없이 부여하고 있다. - 107p
우리는 어디서 영감을 얻어야 할까? 몇 가지 방법이 있다. 먼저 나는 영감이 올 때까지 기다리지 않는다. 매일매일 같은 시간에 일정하게 글을 쓴다. 영감이란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글을 쓰는 사람에게 섬광처럼 스쳐지나가는 한 줄기 빛이자 선물이기 때문이다. - 131p
목차
PART1 잘 쓰겠습니다
01 삶을 담아내는 글쓰기 수업
글쓰기에 타고난 재능이 있나요?
나는 왜 쓰는가
실패한 인생도 글로 승화시키기
글 써서 돈을 벌려면
죽을 고비를 넘긴 제 인생을 써 보고 싶어요
모태솔로지만 로맨스 소설을 쓰고 싶어요
사는 이야기가 중요한 이유
언어적 감수성이 풍부하려면
02 즐거운 글쓰기의 세계
쓰는 사람이 즐거워야 읽는 사람도 즐겁다
잘한다, 잘한다, 잘한다
꾸준함이 정답이다
글쓰기에 부담을 느끼지 않으려면
생동감 넘치는 문장을 쓰는 법
성애물 잘 쓰는 법
강연과 강의는 뭐가 다른가요
쉽게 읽히는 글을 쓰려면
솔직하게 말하면 배가 아파요
03 글쓰기 그 이상의 글쓰기
언제까지 글쓰기 수업을 들을 수는 없잖아요
무장르가 상장르다
전공이 뭐예요?
쓸 소재가 없어요
학생들이 가장 많이 써오는 주제 1위
시행착오도 겪어봐야 하지 않나요
독후감 쓰기부터 잘했으면 좋겠어요
제 글에 애정이 안 가요
PART2 글쓰기 원데이 클래스
01 글쓰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02 소설 쓰기 BASIC CLASS
03 에세이 쓰기 BASIC CLASS
04 글을 쓰고 나서 해야 할 일
'구독 Wri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수필(隨筆) : 작은 행복 찾기 (109) | 2024.02.27 | 
|---|---|
| 책소개 : 죽은 고양이를 태우다 (105) | 2024.02.25 | 
| 소설(小說) : 경력사원_8 (144) | 2024.02.02 | 
| 소설(小說) : 경력사원_7 (135) | 2024.02.01 | 
| 소설(小說) : 경력사원_6 (136) | 2024.01.31 | 
 
										
									 
										
									 
										
									